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강아지 고관절 수술 재활운동 후기

포메라니안 고관절 수술 재활운동 후기 관절이 약한 특성을 가진 소형견(포메라니안,시츄,말티즈 등)을 새끼때 분양받아 키우다 보면  필수적으로 겪게되는 관절관련 질환인 슬개골 탈구 및 고관절 이형성증을 극복해야 하는 난제가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강아지 고관절 이형성증 뜻과 원인 및 증상 및 실제 수술후 재활운동방법 및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 [고관절 수술후 회복한 강아지 모습] ✅ 고관절 이형성증 뜻과 증상 고관절 이형성증 뜻과 발생원인 및 증상에 대해 서울아산병원 자료에 의한 의학자료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고관절 이형성증 뜻(정의) 고관절 이형성증은 선천적 또는 발달성으로 비구의 발육부진으로 인해, 고관절 내 공모양의 대퇴골 머리가 부분적으로 빠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 참고로 제가 키우는 소형견인 포메라니안은 생후7개월에 수술하였으며 선천적인 원인에 의한 고관절 질환이였습니다. [고관절 이형성증 /자료:아산병원] ✅ 고관절 이형성증 원인 고관절 이형성은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엉덩이 관절염의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입니다. (자료: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1. 유전적인 요인 - 가족 이런 병에 걸리면 확률이 높아집니다. - 여자아이에서 4~6배 많이 걸립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가  암컷입니다) 2. 역학적 원인 어미의 자궁이 작거나 양수가 적거나 뱃 속에서 거꾸로 자리잡은 아이 등에서 병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3. 환경적 원인 강아지를 키우는 방법,질병상태,영양상태,다른 선천적 질병 유무 등 여러 가지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고관절 이형성증 증상 - 허벅지 안쪽 피부 주름이 비대칭일 수 있습니다. - 한쪽만 고관절이 형성일 경우 걸을 때 절뚝거리며 양쪽으로 발생한 경우 오리걸음을 걷습니다. * 저의 강아지의 경우 한쪽이 심하고 -다른 쪽은 약한 증상을 보였으나 양쪽 모두 수술하였습니다. - 저의 강아지 경우 절뚝거리는 증상은 없었으나 엑스레이 촬영으로 고관절이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중앙선 완전개통 및 중앙선 복선전철 KTX 노선 정리

중앙선 복선 전철 노선도 청량리~원주~울산~부산을 연결하는 제2 경부선 역할을 하는 중앙선이 82년만에 완전 복선 전철화 되어 2024년 12월 20일자로 개통(KTX 이음 운행)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중앙선 구간에서 운행이 불가능 했던 준고속철,KTX-이음이 중앙선 전구간에서 운행이 가능해졌습니다. ✅ 중앙선 복선 전철  노선도 중앙선 복선 전철(중앙선 KTX) 노선도에 의한 운행 역은 아래 표2과 같이 서울   청량리역에서 출발하여,  구리 덕소역~서원주~제천~도담(단양)~영주~안동~의성~영천~경주~태화강(울산)~부전(부산)을 종착역으로 제2 경부선으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중앙선 복선 전철 노선도(표1)/자료:국토부)] [ 중앙선 도담~영천 노선도(표2)/자료:국토부] ✅ 중앙선 복선전철,중앙선 KTX 운행소요시간 중앙선(중앙선 복선전철)은 개통 초기에는 청량리~부산(부전역) 구간  운행 소요시간은  KTX-이음 기준으로 3시간   56분(청량리~울산 태화강 3시간 12분),ITX-마음 기준으로 약5시간  30분  가량 소요 될 예정입니다. 2025년말 안동~영천 구간에 고속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시스템이 개량이 되면, 청량리~부전(부산) 구간은 KTX  운행  시간은 3시간 40분대(청량리~울산 태화강 3시간 소요)로 단축되고, KTX-이음도 현재의 하루 왕복 6회에서 18회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중앙선 복선 전철 개통 일지 - 2010년 청량리~덕소 구간 개통 - 2011년 제천~도담 구간 개통 - 2021년 원주~제천,영천~경주 개통 - 2024년 도담~영천  복선  전철화 완료 기존  도담~영천 구간은 구불구불한 168.1km 단선철도는 복선전철로 선형이 개량되었고,사업비는 총4조 3,413억원이 투입되었습니다. 중앙선 청량리부터 경주까지 총 연장 328km 중앙선 전 구간이 복선전철이 되면서,...

농어업민 연금보험료 지원 대상 신청방법 총정리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총정리 국민연금공단에서 농어업에 종사하는 대상으로 연금보험료 지원제도인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제도'에 대한, 신청자격,신청방법에 대해 국민연금공단에서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총정리하였습니다. ✔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란? 국민연금공단이 농어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국민연금 납부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운영중인 제제로서, 국민연금 제도상의 농어업인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보험료의 50%(최대 46,350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신청방법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신청 방법은 농업경영체(어업경영체)에 등록한 사람은 증빙서류 제출없이 간편하게 전화로 지원 신청이 가능합니다.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를 전화로 신청하고자 하는 사람은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국번없이 1355(유료)로 하시면 됩니다. 단, 경영체에 등록하지 않으신 분은 농어업인임을 증명하는 농어업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 ✅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대상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대상은 국민연금 지역임의계속가입자 중 국민연금제도 상의 농어업인분들에게 지원해 드리고 있습니다. ✔ 농어업인의 범위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57조 제1항) - 1천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를 경영 또는 경작하는 자 -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 원 이상인 자 -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 - 어업,양식업 경영을 통한 수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 원 이상인 자 - 1년중 60일 이상 어업,양식업에 종사하는 사람 단,종합소득이 연 6,000만 원 미만,재산세 과세표준합계액이 12억 원 미만 이면인 자 ✅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금액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대상 분들에게 국민연금 보험료를 월 최대 46,350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기준소득월액에 따른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금액 - 기준소득월액 103만원 초과 : 월 46,350원 정액 지원 - 기준소득월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