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부동산 중개사고와 공인중개사의 책임범위 및 판례

부동산 중개사고와 공인중개사 책임범위 및 판례

개업 공인중개사가 부동산을 운영하는데 조심하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중개사고 뜻과  중개사의 손해배상관련 책임범위와 주의요건을 관련 사례와 유권해석을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자료를  근거로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필자도 부동산 중개업을 15년이상 운영하면서 부동산 중개사고에 노출된적이 여러번 발생하였지만 중개시 집중을 한 결과 15년동안 한건의 중개사고 없이 부동산중개업을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중개사고 유형

1.중개사고란?

(1) 정의
 
개업공인중개사가 중개계약에 따라 수탁한 업무를 함에 있어서 고의 또는 과실로 위탁한 거래당사자에게 손해를 가하게 한 것을 중개사고(공인중개사법 제42조의 4) 또는 부동산거래사고(동법 제34조의 2)라고 한다.

(2) 손해배상청구권의 법적 성격

① 이는 개업공인중개사와 거래당사자 사이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법규를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② 채무불이행책임
 민법 제390조는 '채무자가 채무의 내용에 좇은 이행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채권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채무자의 고의나 과실없이 이행할 수 없게 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는 모든 계약관계에 관한 일반적인 채무불이행 책임을 규정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③ 불법행위책임
 민법 제750조는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라고 규정하여 일반불법행위 책임을 규정하고 있으며, 중개보조인의 거래당사자에 대한 불법행위 책임은 민법 제756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④ 공인중개사법상의 손해배상책임
 공인중개사법 제30조 제1항은 '개업공인중개사는 중개행위를 함에 있어서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거래당사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같은 조 제2항은 '개업공인중개사는 자기의 중개사무소를 다른 사람의 중개행위의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거래당사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개업공인중개사가 아닌 사람에 관하여는 같은  법 제15조 제2항엥서 '소속공인중개사 또는 중개보조원의 업무상 행위는 그를 고용한 개업공인중개사의 행위로 본다'라고 규정하여 공인중개사의 행위로 간주하고 있다. 

(3) 소멸시효에 관하여

① 각 근거에 따른 시효기간의 구별
 
개업공인중개사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행위와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면 손해배상청구권이 발생하는데, 손해배상을 구하는 거래당사자가 채무불이행책임으로서의 손해배상을 구하면 그 청구권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민법에 따라 10년, 상법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에 걸리고(민법 제162조, 상법 제62조), 불법행위책임으로서의 손해배상을 구하면 그 청구권은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의 소멸시효에 걸린다(민법 제766조).

② 소멸시효에 관한 개업공의중개사의 주의 점
 상당수의 개업공인중개사는 어떤 과실로 발생한 중개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소멸시효를 3년으로 알고 있거나 묵시적 갱신이 되면 소멸되는 것으로 이해하지만, 민법의 각 규정으로 인해서 최장 10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되어 중개거래가 있은 날로부터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고도 책임을 추궁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숙지하여야 한다. 

✿ 중개업자 책임범위에 대한 판례사례(유권해석)

공인중개사가 부동산 현업에 종사하며 발생하는대표적인  중개사고에 관한 법원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진정한 권리자인지 여부 조사 확인 의무 
부동산중개업자와 중개의뢰인과의 법률관계는 민법상의 위임관계와 같으므로 중개업자는 중개의뢰의 본지에 따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의뢰받은 중개업무를 처리할 의무가 있을 뿐 아니라 법 제29조에 의하여 신의와 성실로 공정하게 중개행위를 할 의무가 있고, 법 제25조 제1항은 중개의뢰를 받은 중개업자는 중개대상물의 권리관계, 법령의 규정에 의한 거래 또는 이용제한사항 등을 확인하여 중개의뢰인에게 설명할 의무가 있음을 명시하고 잉ㅆ고 위 권리관계에는 중개대상물의 권리자에 관한 사항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므로, 중개업자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와 신의성실로써 매도 등 처분을 하려는 자가 진정한 권리자인지 여부를 조사, 확인할 의무가 있다(대법원 2007다44156판결).

중개업자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와 신의성실로써 매도 등 처분을 하려는 자가 진정한 권리자인지를 조사, 확인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부동산중개업자가 대리인에 대하여 체결되는 계약을 중개하는 경우 대리인이 진정한 대리인인지도 확인할 주의의무가 있다(서울고등법원 2013나79810 판결).

 - 직접적인 위탁관계가 없더라도 중개업자의 주의 의무 부담  
부동산중개업자는 당해 중개대상물의 권리관계 등을 확인하여 중개의뢰인에게 설명할 의무가 있고, 한편 직접적인 위탁관계가 없다고 하더라도 부동산중개업자의 개입을 신뢰하여 거래를 하기에 이른 거래 상대방에 대하여도 부동산중개업자는 신의성실의 원칙상 목적부동산의 하자, 권리자의 진위, 대리관계의 적법성 등에 대하여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업무상의 일반적인 주의의무를 부담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7다3611 판결).

중개수수료 미수령과 주의의무  
피고 개업공인중개사가 이 사건 매매계약으로 인한 중개수수료를 성명불상자로부터만 받고 원고로부터는 중개수수료를 수취하지 않는 관계에 있었다고 하더라도, 부동산중개업자는 중개대상물인 부동산에 대하여 거래당사자들 사이의 매매 등의 행위를 알선하는 자로서 중개수수료를 수취하지 않는 거래당사자에 대한 관계에서도 공인중개사법에서 규정하는 주의의무를 부담한다고 봄이 상당하다(서울중앙지방법원 2009가합33803 판결).

- 원계약서 분실로 거래계약서 재작성시 중개업자의 주의 의무   부동산중개업자가 중개의뢰인의 요구에 따라 잔금 지급일에 거래계약서를 재작성함에 있어 중개의뢰인의 확인 요청에 따라 그 시점에서의 제한물권 상황을 다시 기재하게 되었으면 중개 대상물의 권리관계를 다시 확인하여 보거나 적어도 중개의뢰인에게 이를 확인하여 본 후 잔금을 지급하라고 주의를 환기시킬 의무가 있다고 한 사례(출처 : 대법원 2002. 8. 27. 선고 2000다44904 판결). 

-자료참조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부동산중개사고 예방가이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손보험 청구, 보험사 현장조사시 대처요령

보험사 현장조사시 주의사항 보험사고가 발생할 시 해당 보험사는  고객의 보험금 청구가 타당한지 조사를 한 후 고객에게 보험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액의 보험금 청구에는 '보험금 현장조사'등의 절차가 생략되나 금액이 고액이거나 고객이 제출한 보험청구서에 부족한 증빙자료가 있을 경우 보험사는 손해사정사를 통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보험금 현장조사'시 의무적으로 서명하지 않아도 될 서류에 서명을 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보험금 현장조사시 필수확인사항:자료(조선일보)] ✅ 보험금 현장조사란? 보험사가 고객의 보험금을 청구하였을 경우 해당 보험금 청구가 타당한지 조사하는 행정절차를 말합니다. 보험가입자가 실손보험 및 일반보험사고가 가입한 보험사에 보험금청구서류를 증빙자료와 함께 보험금 지급청구를 하였을 경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소액이나 증빙자료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보험금 현장조사'라는 절차가 생략이 되나, 고객이 청구한 보험금액이 보험사가 정한 고액에 해당하거나,고객이 제출한 청구증빙서류의 보완이나 재확인이 필요한 경우, 보험사는 업무협약을 맺은 손해사정업체에게 의뢰하여 고객을 면담하고 치료받은 병원에 방문하여 제반 의료기록을 조회하는  '보험금 현장조사'를 완료후 보험금 지급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 보험금 현장조사시 보험 청구인 동의서류 구분 손해사정사가 보험 청구인을 만나 면담을 하면서 현장조사하기 전에 보험금 청구인에게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등에 서명을 받아야 합니다. 한편 보험사에서 손해사정사를 통한 '보험금 현장조사'를 위한 개인정보 동의를 받는 서류중에는 필수적으로 보험청구인이 서명을 해야 하는 서명 동의서와 선택적으로 서명 동의를 하지 않아도 되는 서류가 있습니다. 보험사에서는 보험 청구인들에게 대부분이러한 사실을 고지하지않고 '보험금 현장조사'를 위해 필요한 서류이...

강아지가 풀밭에 뒹구는 이유

강아지가 풀밭에 뒹구는 이유 사랑스런 반려견과 공원잔디밭을 산책을 하다보면 강아지가 갑자기 잔디밭,풀밭에 몸을 뒹굴거나, 머리나 귀를 풀밭에 붙이고 뒹구는 모습을 보고 보호자는 강아지의 이런 행동에  당황하거나 놀란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강아지들의 풀밭에 몸을 뒹구는행동특성은 강아지들의 어떤 심리상태나 건강상태를 나타낼까요? ✅ 반려견이 풀밭에 몸을 비비는 이유 풀밭에 몸을 뒹굴고 얼굴을 비비는 반려견의 행동특성은  어린강아지 시기뿐만 아니라 성견에게도 똑같은 행동이 일어납니다. 동물학회나 학자들이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강아지가 풀밭에 뒹굴고 몸을 비비는 행위는 대표적으로 다음 다섯가지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풀밭에 뒹구는 포메라니안 강아지 영상) 첫째  이유는 소화촉진을 위한 행동 잔디나 풀이 강아지의 위장기능을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둘째,부족한 영양분 섭취를 위한 행동 강아지들은 사료나 간식으로 부족한 영양분을 풀밭에 뒹굴면서 여린 잎사귀나 뿌리등을 먹으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보충하는 야생본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셋째,청결유지 행동 강아지가 풀밭에서 자신의 몸을 비비거나 뒹구는 이유는 야생의 멋돼지나 호랑이등이  흙이나 풀밭에서 자신의 몸을 털어 자신의 신체에 달라붙은 기생충이나 벌레들을 털어 내는 야생동물의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째,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행동 특별한 환경의 반려견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반려견들은 오랜동안 실내에 있거나 보호자가 산책시켜 줄때까지 일정공간에 갖혀있는 행동제약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의 강아지들은 보호자와 함께 탁트인 자연공간인 공원잔디밭이나 야외산책을 한다는 것이 정말 즐거운 일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운동장이나 잔디밭에서 뒹굴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하듯이 애안동물인 반려견도 풀밭에 뒹굴고 비비면서 자신의 감정을 보호자에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다섯째,자신이 좋아하는 냄새를 찾았을때 하는 야생본능 강아지가 풀밭에서 뒹굴거나 머리나 귀...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 방법

몬스테라 물꽃이 수경재배 방법 ✅ 몬스테라 키우기전 필수체크 사항 몬스테라는 이름처럼 키우기 쉬운 무늬관엽식물입니다. 몬스테라 키우는 반드시 필요한 두가지 생육조건은 일정한 햇빛과 수분조절입니다. 이중 일정한 채광은 식물등으로 보완이 가능하지만,만일 일정한 자연채광 또는 식물등에 의한 6시간정도의 채광시간이 부족하면, 몬스테라 키우는 핵심인 찢잎이 나오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몬스테라를 키우기전에 반드시 체크 하여야 할 사안이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거실이나 창가의 채광시간입니다. 아무리 식물에게 정성을 다한다고 해도 식물을 잘 키우는 비결은 채광입니다. 채광을 고려하여 식물을 선택한다면 누구나 훌륭한 식집사가 될 것입니다. ✅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 방법 몬스테라,몬스테라 알보의 물꽂이 수경재배를 위한 준비물과 방법 및 장점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몬스테라 수경재배(그림1)] ✔ 몬스테라 물꽃이 수경재배 준비물 몬스테라 수경재배를 위한 준비물은 간단합니다(그림1,2참조) ① 몬스테라: 뿌리가 한개이상 자란 개체 ☞뿌리가 자라지 않은 개체를 물꽃이 할경우 뿌리가 자라지 않거나,성장이 늦습니다. 간혹 몬스테라 뿌리 생장점이 없는 잎대만 잘라서 물꽂이 하는 분이 있는데 이경우에는 뿌리가 자라지 않습니다. ② 물병(플라스틱,유리병):물병재질은 유리보다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유리화분은 이동중이나 몬스테라 잎을 건드릴경우 쉽게 깨질 수 있습니다. ③ 수경재배돌 : 수경재배돌은 무거운 것보다 건들면 물에 약간 뜨는 무게의 수경돌을 추천합니다. 돌로 된 재질의 수경돌은 몬스테라 뿌리 생장에 장애를 줄뿐만 아니라 물병을 무겁게 만듦니다. 따라서 그림1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가벼운 수경재배돌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몬스테라 수경재배(그림2)] [ 몬스테라 수경재배(그림3)] ✔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 장점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의 장점은 크게 세가지 입니다. 첫째는 키우기 쉬움(과습,관리시간 최소) 초보나 경험있는 식집사도 과습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