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알기쉬운 부동산 경매절차 총정리

알기쉬운 부동산 경매절차 총정리

부동산 경매는 주로 법원이 채권자의 청구에 따라 채무자의 부동산(아파트,주택,토지등)을 공개적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말하며,

부동산 경매를 통한 부동산의 취득은  경매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들에게 다소 복잡한 행정절차 과정과 시간을 투자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거래방식이지만,

일반 부동산 거래와 달리 부동산 경매절차를 통해 매수자를 선별하는 거래절차로 인하여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세보다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동산 경매절차,임의경매 강제경매 절차

✅ 부동산 경매 절차(업무 흐름도)


부동산 경매 절차도

[부동산 경매절차:출처,대한민국법원경매정보]


부동산 경매절차에는 종류에는 임의경매와 강제경매가 있으나,
임의경매 절차와 강제경매 절차는 경매신청 방법,매각 대상인의 부동산의 압류 여부만 다를 뿐 그 진행 절차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에서는 일반적인 부동산 경매절차를 중심으로 알아보되,
임의경매와 강제경매 절차 중에서 특별하게 차이가 있는 경매절차에 대해 구분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경매절차에 대한 공신력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사견은 최소화하고 법원 홈페이지에 기재된 법적절차를 근거로 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부동산 경매 절차는 일반적으로 채권자의 경매 신청 → 법원의 경매개시결정 매각 준비 및 매각기일 공고  → 입찰자의 정보수집 및 입찰 참여 → 법원의 최고가 매수인 선정 및 매수신청보증 반환 → 법원의 매각허가 결정 →  매수인의 매각대금 지급 및 권리 취득 → 채권자에 대한 배당 순으로 진행됩니다. 

■ 채권자의 경매 신청 

☞신청장소: 관할 법원

  부동산 경매는 해당 부동산이 있는 곳의 지방법원에 신청하면 됩니다. [민사집행법 제79조 제1항 및 제268조]

☞ 관할 법원은 [대법원 홈페이지(https://www.scourt.go.kr)-대국민서비스-정보-전국 법원, 등기소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경매의 신청서류

 부동산 경매 신청 서류는 강제경매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그 밖의 신청서류 및 작성요령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법원 법원경매정보(www.courtauction.go.kr)-경매지식-경매절차-부동산 경매-01 경매신청 및 경매개시 결정]에서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강제 경매를 신청하려면 관할 법원에 다음의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출처 : 대한민국 법원 법원경매정보-경매지식-경매절차-부동산경매]

1. 부동산 강제경매 신청서

2. 집행권원의 집행력 있는 정본

3. 강제집행 개시의 요건이 구비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

  (1) 집행권원의 송달증명(다만, 이행권고결정정본이나 지급명령정본상에 송달일자가 부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출생략가능)

  (2) 조건성취를 채권자가 증명하여야 하는 경우의 조건성취집행문(조건이 채권자의 담보제공인 경우 제외)과 

승계집행문 및 각 경우의 증명서(승계사실이 법원에 명백한 경우 제외)의 송달증명서

  (4) 반대의무의 이행 또는 이행제공을 증명하는 서면, 집행불능증명서 등

4. 부동산 등기사항  전부증명서나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서류

5. 부동산목록 10통

6. 수입인지 5,000원(수 개의 집행권원 또는 담보권에 기하여 신청하는 경우에는 집행권원 또는 담보권수 1개당 5,000원 인지를 붙임)

7. 대법원 수입증지 부동산 1개당 3,000원 첨부(단독주택은 토지와 건물을 각각 하나의 부동산응로 보며, 아파트, 연립, 다세대 주택은 토지와 건물을 하나의 부동산으로 봄)

8. 등록세(청구채권액의 2/1000)와 지방교육세(등록세의 20/100)를 납부한 영수필통지서 1통 및 영수필확인서 1통

9. 비용의 예납 : 경매절차에 있어서 필요한 송달료, 감정료, 현황조사료, 신문공고료, 매각수수료 등의 비용을 미리 내야 합니다.

■ 법원의 경매개시결정 및 매각 준비

- 경매개시결정

▸법원은 경매신청서가 접수되면 그 신청서와 첨부서류를 검토해서 경매개시 여부를 결정하는데, 

경매를 개시하는 결정을 하는 경우에는 등기관에게 경매개시결정의 등기를 촉탁합니다 [민사집행법 제94조 제1항]

▸ 특히, 강제경매인 경우에 법원은 경매절차를 개시하는 결정과 동시에 해당 부동산의 압류를 명해야 합니다[민사집행법 제83조 제1항]

부동산이 압류되어도 채무자는 그 부동산에 대한 관리, 이용을 계속 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거나 처분할 수 없습니다.[민사집행법 제83조 제2항]

- 매각의 준비

▸경매개시결정을 하면 법원은 해당 부동산을 매각하기 위한 조치를 실시합니다. 

▸우선, 법원은 부동산의 매각으로 금전채권의 만족을 얻게 될 채권자와 조세, 각종 공과금을 징수하는 

공공기관에게 정해진 기일까지 배당요구를 할 것을 공고해서 배당요구의 신청을 받습니다. [민사집행법 제84조 및 제88조]

▸또한, 경매 부동산을 현금화하기 위해 집행관에게 부동산의 현상, 점유관계, 차임(借賃) 

또는 보증금의 액수와 그 밖의 현황에 관해 조사하도록 명하고[민사집행법 제85조 제1항 및 민사집행규칙 제46조], 
감정인에게 부동산을 평가하게 한 후 그 평가액을 참작해서 최저 매각가격을 정합니다.[민사집행법 제97조 제1항] .

이 과정에서 작성된 매각물건명세서, 현황조사보고서 및 평가서는 그 사본을 매각기일 또는 입찰개시일 1주일 전까지 법원에 비치해서,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민사집행법 제105조 제2항 및 민사집행규칙 제 55조]

■ 법원의 매각기일 공고

- 매각방법의 지정

▸법원은 해당 부동산을 기일입찰의 방법으로 매각할 것인지, 기간입찰의 방법으로 매각할 것인지를 정합니다.

[민사집행법 제103조 제1항 및 부동산 등에 대한 경매절차 처리지침(대법원재판예규 제1853호, 2023.6.29 발령,시행) 제3조 제1항]

 기일입찰과 기간입찰 법류용어 구분

  "기일입찰"이란 입찰자가 매각기일에 출석해서 입찰표를 집행관에게 개찰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입찰절차를 말하며[민사집행법 제103조 제2항,제3항 및 민사집행규칙 제62조 제1항], 

  "기간입찰"이란 입찰자가 정해진 입찰기간 내에 입찰표에 매수가격을 기재해서 집행관에게 직접 또는 등기우편으로 제출하고, 

매각기일에 개찰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입찰절차를 말합니다[민사집행법 제103조 제2항, 제3항 및 민사집행규칙 제69조]

- 매각기일 등의 지정, 공고

▸ 법원은 다음의 사유가 없으면 직권으로 매각기일과 매각결정기일을 정해서 이해관계인에게 통지하고 

법원게시판, 관보, 공보 또는 신문이나 전자통신매체를 이용해서 공고합니다. [민사집행법 제102, 제104조 및 민사집행규칙 제11조 제1항]

1.  최저매각가격으로 압류채권자의 채권에 우선하는 부동산의 모든 부담과 절차비용을 변제하면 남을 것이 없겠다고 인정하는 경우

2. 압류채권자가 위 제1호의 통지를 받은 날부터 1주 이내에 위 제1호의 부담과 비용을 변제하고,

남을 만한 가격을 정해서 그 가격에 맞는 매수신고가 없을 때에는 자기가 그 가격으로 매수하겠다고 신청하면서 충분한 보증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 입찰자의 경매 정보 수집 및 입찰물건 결정

- 입찰자의 경매 정보 수집 및 입찰물건 결정

▸ 경매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법원게시판, 관보,공보 또는 신문이나 전자통신매체를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사항은 법원에 비치된 매각물건명세서, 현황조사보고서 및 평가서 사본이나 인터넷 법원경매공고란(https://www.courtaution.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법규:[민사집행법 제105조 제2항, 민사집행규칙 제55조 및 부동산등에 대한 경매절차 처리지침 제7조]

▸경매에 참여하려는 사람은 이 경매 정보를 토대로 관심 물건을 선정한 뒤 그에 대한 권리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해서 입찰에 참여할 물건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입찰자의 입찰 참여

- 입찰 참여

▸법원에서 지정한 매각방식에 따라 입찰자는 기일입찰 또는 기간입찰에 참여하게 됩니다[민사집행법 제103조 및 부동산등에 대한 경매절차 처리지침 제3조 제1항]

- 입찰의 진행

▸ 기일입찰에 참여하려면 정해진 기일에 법원에 출석해서 입찰표를 작성하고, 

매수신청의 보증금액(이하 '매수신청보증'이라 함)과 함께 집행관에게 제출하면 됩니다.[민사집행법 제 103조 제3항, 민사집행규칙 제62조 제1항 및 제64조]

▸기간입찰에 참여하려면 정해진 기간 동안 입찰표를 작성하고, 

매수신청보증과 같은 봉투에 넣어 봉함한 뒤 봉투의 겉면에 매각기일을 적은 후 집행관에게 제출하거나 등기우편으로 부치면 됩니다.

관련법규:[민사집행법 제103조 제3항, 민사집행규칙 제69조 및 제70조]

- 입찰의 종결

입찰이 마감되면 집행관은 입찰한 사람(입찰을 한 사람이 아무도 참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참여시킨 상태에서 입찰표를 개봉합니다.[민사집행규칙 제65조 제2항 및 제71조]

▸개찰 결과 최고가로 매수의 신고를 한 사람(최고가매수신고인)이 있으면 집행관은 그 최고가매수신고인의 성명과 그 가격을 부르고,

 차순위매수신고를 최고(崔告)한 뒤 적법한 차순위매수신고가 있으면 차순위매수신고인을 정해 

그 성명과 가격을 부른 다음 매각기일을 종결한다고 고지합니다[민사집행법 제115조 제1항]

▸최고가매수신고인과 차순위매수신고인이 결정되면 이들을 제외한 다른 입찰자는 매수의 책임을 벗게 되므로,

즉시 매수신청보증을 돌려줄 것을 신청해 매수신처보증을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민사집행법 제115조 제3항]

■ 법원의 매각허가결정

- 법원의 매각허가결정

▸매각기일에 최고가매수신고인이 정해지면 법원은 매각결정기일을 열어 이해관계인의 의견을 듣고,

법에서 정한 매각불허가 사유가 있는지를 조사해서 매각허가결정 또는 매각불허가결정을 합니다.[민사집행법 제120조 및 제123조]

▸법원의 매각허가여부의 결정에 따라 손해를 보는 이해관계인은 그 결정에 대해 즉시항고할 수 있으며, 

매각허가에 정당한 이유가 없거나 결정에 적은 것 외의 조건으로 허가해야한다고 주장하는 매수인 

또는 매각허가를 주장하는 매수신고인 역시 즉시항고할 수 있습니다[민사집행법 제129조]

■ 매수인의 매각대금 지급 및 권리의 취득

- 매각대금의 지급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되면 매수인(낙찰자)은 법원이 정한 매각대금의 지급기한 내에 매각대금을 지급해야 합니다.[민사집행법 제142조 및 민사집행규칙 제78조]

▸매수인이 이 기한 내에 매각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면 법원은 차순위매수신고인에 대한 매각허가결정을 하거나 재매각결정을 하는데

이 결정이 이루어지면 매수인은 입찰참여 절차에서 제공한 매수신청보증을 반환받을 수 없습니다.[민사집행법 제137조 및 제138조 제1항, 제4항]

그러나 재매각이 결정된 이후라 하더라도 매수인이 재매각 기일의 2일 이전까지 

① 매각대금과 ② 그 지급기한이 지난 뒤부터 지급일까지의 대금에 대한 연 12%의 이자 및 ③ 절차비용을 지급하면 재매각 절차가 취소되고 매수인이 매각대금을 지급한 것으로 봅니다.[민사집행법 제138조 제3항 및 민사집행규칙 제75조]

- 권리의 취득

▸매수인은 매각대금을 모두 낸 때에 매각의 목적인 권리를 취득합니다[민사집행법 제135조]. 매각의 목적이 소유권인 경우에는 매수인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이루어지는 한편, 

매수인이 인수하지 않는 권리 및 경매개시결정등기를 말소하는 등기가 이루어집니다.[민사집행법 제144조 제1항]

▸매수인이 소유권을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 소유자 또는 부동산 점유자가 부동산을 인도하지 않으면, 

매수인은 법원에 부동산 인도명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인도명령의 신청은 매각대금을 낸 뒤 6개월 이내에만 할 수 있으며,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대항력을 갖춘 경우 등 점유자가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권원에 의해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는 할 수 없습니다.[민사집행법 제136조 제1항]

■ 채권자에 대한 배당 실시

 - 배당절차

▸매수인이 매각대금을 지급하면 법원은 배당절차를 밟아야합니다.[민사집행법 제145조 제1항]

▸즉, 배당기일을 정해서 이해관계인과 배당을 요구하는 채권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민사집행법 제146조], 

채권자와 채무자가 볼 수 있도록 매각대금, 채권자의 채권의 원금, 이자, 비용, 배당의 순위와 배당의 비율이 기재된 배당표 원안을 미리 작성해서, 

배당기일의 3일 전까지 법원에 비치합니다.[민사집행법 제149조 제1항 및 제150조 제1항]

▸배당기일에는 출석한 이해관계인과 배당을 요구한 채권자의 합의에 따라 배당표를 정정하고, 

이들을 심문해서 배당표를 확정한 후 그 배당표에 따라 배당을 실시합니다.[민사집행법 제149조 제2항, 제150조 제2항 및 제159조]
(출처: 대법원 부동산경매정보)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손보험 청구, 보험사 현장조사시 대처요령

보험사 현장조사시 주의사항 보험사고가 발생할 시 해당 보험사는  고객의 보험금 청구가 타당한지 조사를 한 후 고객에게 보험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액의 보험금 청구에는 '보험금 현장조사'등의 절차가 생략되나 금액이 고액이거나 고객이 제출한 보험청구서에 부족한 증빙자료가 있을 경우 보험사는 손해사정사를 통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보험금 현장조사'시 의무적으로 서명하지 않아도 될 서류에 서명을 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보험금 현장조사시 필수확인사항:자료(조선일보)] ✅ 보험금 현장조사란? 보험사가 고객의 보험금을 청구하였을 경우 해당 보험금 청구가 타당한지 조사하는 행정절차를 말합니다. 보험가입자가 실손보험 및 일반보험사고가 가입한 보험사에 보험금청구서류를 증빙자료와 함께 보험금 지급청구를 하였을 경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소액이나 증빙자료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보험금 현장조사'라는 절차가 생략이 되나, 고객이 청구한 보험금액이 보험사가 정한 고액에 해당하거나,고객이 제출한 청구증빙서류의 보완이나 재확인이 필요한 경우, 보험사는 업무협약을 맺은 손해사정업체에게 의뢰하여 고객을 면담하고 치료받은 병원에 방문하여 제반 의료기록을 조회하는  '보험금 현장조사'를 완료후 보험금 지급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 보험금 현장조사시 보험 청구인 동의서류 구분 손해사정사가 보험 청구인을 만나 면담을 하면서 현장조사하기 전에 보험금 청구인에게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등에 서명을 받아야 합니다. 한편 보험사에서 손해사정사를 통한 '보험금 현장조사'를 위한 개인정보 동의를 받는 서류중에는 필수적으로 보험청구인이 서명을 해야 하는 서명 동의서와 선택적으로 서명 동의를 하지 않아도 되는 서류가 있습니다. 보험사에서는 보험 청구인들에게 대부분이러한 사실을 고지하지않고 '보험금 현장조사'를 위해 필요한 서류이...

강아지가 풀밭에 뒹구는 이유

강아지가 풀밭에 뒹구는 이유 사랑스런 반려견과 공원잔디밭을 산책을 하다보면 강아지가 갑자기 잔디밭,풀밭에 몸을 뒹굴거나, 머리나 귀를 풀밭에 붙이고 뒹구는 모습을 보고 보호자는 강아지의 이런 행동에  당황하거나 놀란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강아지들의 풀밭에 몸을 뒹구는행동특성은 강아지들의 어떤 심리상태나 건강상태를 나타낼까요? ✅ 반려견이 풀밭에 몸을 비비는 이유 풀밭에 몸을 뒹굴고 얼굴을 비비는 반려견의 행동특성은  어린강아지 시기뿐만 아니라 성견에게도 똑같은 행동이 일어납니다. 동물학회나 학자들이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강아지가 풀밭에 뒹굴고 몸을 비비는 행위는 대표적으로 다음 다섯가지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풀밭에 뒹구는 포메라니안 강아지 영상) 첫째  이유는 소화촉진을 위한 행동 잔디나 풀이 강아지의 위장기능을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둘째,부족한 영양분 섭취를 위한 행동 강아지들은 사료나 간식으로 부족한 영양분을 풀밭에 뒹굴면서 여린 잎사귀나 뿌리등을 먹으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보충하는 야생본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셋째,청결유지 행동 강아지가 풀밭에서 자신의 몸을 비비거나 뒹구는 이유는 야생의 멋돼지나 호랑이등이  흙이나 풀밭에서 자신의 몸을 털어 자신의 신체에 달라붙은 기생충이나 벌레들을 털어 내는 야생동물의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째,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행동 특별한 환경의 반려견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반려견들은 오랜동안 실내에 있거나 보호자가 산책시켜 줄때까지 일정공간에 갖혀있는 행동제약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의 강아지들은 보호자와 함께 탁트인 자연공간인 공원잔디밭이나 야외산책을 한다는 것이 정말 즐거운 일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운동장이나 잔디밭에서 뒹굴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하듯이 애안동물인 반려견도 풀밭에 뒹굴고 비비면서 자신의 감정을 보호자에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다섯째,자신이 좋아하는 냄새를 찾았을때 하는 야생본능 강아지가 풀밭에서 뒹굴거나 머리나 귀...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 방법

몬스테라 물꽃이 수경재배 방법 ✅ 몬스테라 키우기전 필수체크 사항 몬스테라는 이름처럼 키우기 쉬운 무늬관엽식물입니다. 몬스테라 키우는 반드시 필요한 두가지 생육조건은 일정한 햇빛과 수분조절입니다. 이중 일정한 채광은 식물등으로 보완이 가능하지만,만일 일정한 자연채광 또는 식물등에 의한 6시간정도의 채광시간이 부족하면, 몬스테라 키우는 핵심인 찢잎이 나오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몬스테라를 키우기전에 반드시 체크 하여야 할 사안이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거실이나 창가의 채광시간입니다. 아무리 식물에게 정성을 다한다고 해도 식물을 잘 키우는 비결은 채광입니다. 채광을 고려하여 식물을 선택한다면 누구나 훌륭한 식집사가 될 것입니다. ✅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 방법 몬스테라,몬스테라 알보의 물꽂이 수경재배를 위한 준비물과 방법 및 장점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몬스테라 수경재배(그림1)] ✔ 몬스테라 물꽃이 수경재배 준비물 몬스테라 수경재배를 위한 준비물은 간단합니다(그림1,2참조) ① 몬스테라: 뿌리가 한개이상 자란 개체 ☞뿌리가 자라지 않은 개체를 물꽃이 할경우 뿌리가 자라지 않거나,성장이 늦습니다. 간혹 몬스테라 뿌리 생장점이 없는 잎대만 잘라서 물꽂이 하는 분이 있는데 이경우에는 뿌리가 자라지 않습니다. ② 물병(플라스틱,유리병):물병재질은 유리보다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유리화분은 이동중이나 몬스테라 잎을 건드릴경우 쉽게 깨질 수 있습니다. ③ 수경재배돌 : 수경재배돌은 무거운 것보다 건들면 물에 약간 뜨는 무게의 수경돌을 추천합니다. 돌로 된 재질의 수경돌은 몬스테라 뿌리 생장에 장애를 줄뿐만 아니라 물병을 무겁게 만듦니다. 따라서 그림1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가벼운 수경재배돌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몬스테라 수경재배(그림2)] [ 몬스테라 수경재배(그림3)] ✔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 장점 몬스테라 물꽂이 수경재배의 장점은 크게 세가지 입니다. 첫째는 키우기 쉬움(과습,관리시간 최소) 초보나 경험있는 식집사도 과습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