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미래적금, 2026년 시작: 자산 형성의 새로운 기회
정부가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미래적금'이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합니다. 2026년 예산안에 7446억원을 편성하여 신설되는 이 적금은 만 19~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정부가 최대 12%의 금액을 매칭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약 480만 명이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청년들의 미래 설계를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는 지자체별로 대구시,세종시,서울시에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는 적금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청년미래적금(세종시),희망두배 청년통장(서울시)
청년미래적금, 누가 가입할 수 있나?
청년미래적금 가입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령: 만 19~34세 청년
- 소득: 근로소득 6천만원 이하 또는 연 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에 신규 입사하여 만기까지 근속하는 청년에게는 더 높은 혜택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청년미래적금, 얼마나 받을 수 있나?
청년미래적금은 월 납입 한도 50만원, 만기 3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정부 지원금은 일반형과 우대형으로 나뉘어 지급됩니다.
- 일반형: 정부가 가입자 납입액의 6% 지원
- 우대형: 중소기업 신규 입사 청년 대상, 정부가 가입자 납입액의 12% 지원
3년간 매달 50만원씩 적립하면 원금은 1800만원이 됩니다. 여기에 정부 지원금을 더하면 일반형은 1908만원, 우대형은 2016만원이 됩니다. 연 이자율 5%를 가정하면 만기 수령액은 각각 약 2080만원, 22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특히, 청년미래적금 이자소득은 전액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어 더욱 매력적입니다.
구분 | 월 납입액 | 만기 원금 | 정부 지원 (일반형) | 정부 지원 (우대형) | 예상 만기 수령액 (5% 금리 가정) |
---|---|---|---|---|---|
일반형 | 50만원 | 1800만원 | 108만원 | - | 약 2080만원 |
우대형 | 50만원 | 1800만원 | - | 216만원 | 약 2200만원 |
소득 기준 초과 청년도 가입 가능
근로소득이 6천만원을 초과하는 청년도 청년미래적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정부의 매칭 지원은 없지만,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구체적인 소득 상한선은 추후 확정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미래적금… 무엇이 달라졌나?
기존에 운영되었던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해 출시된 5년 만기 적금 상품입니다. 매달 최대 70만원을 납입하면 소득에 따라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하고, 이자와 정부 기여금, 비과세 혜택을 통해 최대 9.54% 금리의 적금 효과를 누릴 수 있었습니다.
5년 동안 꾸준히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까지 모을 수 있어 많은 청년들에게 인기를 끌었지만, 아쉽게도 올해 12월 31일자로 신규 가입이 중단됩니다.
청년미래적금은 청년도약계좌의 빈자리를 채우며, 이재명 정부의 청년 정책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입 연령은 19~34세로 동일하지만, 가입 기간을 최대 3년으로 단축하여 청년들이 보다 빠르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정부의 매칭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금리 혜택을 높이고, 이자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하여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
---|---|---|
가입 대상 | 만 19~34세 청년 | 만 19~34세 청년 |
가입 기간 | 5년 | 최대 3년 (1년, 2년, 3년 선택 가능) |
월 납입 한도 | 70만원 | 50만원 |
정부 지원 | 소득에 따라 기여금 지원 | 납입액의 최대 12% 매칭 지원 |
만기 수령액 | 최대 5,000만원 | 2000만원 이상 예상 |
특징 | 장기간 목돈 마련에 유리 | 단기간 자산 형성에 집중, 정부 지원 극대화 |
지역별 청년 지원 정책 비교
청년미래적금 외에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다양한 청년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종시, 대구시, 서울시 등 각 지역별로 지원 대상, 내용, 신청 방법 등이 상이하므로, 거주 지역의 공고문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종시 청년희망내일센터
- 대상: 19~39세 관내 근로 청년 중 중위소득 120% 이하
- 내용: 월 15만원 적립 시 3년간 총 1,080만원 (1:1 매칭) + 이자 수령
- 신청: 세종청년희망내일센터 홈페이지 (https://sjyouth.sjepa.or.kr) 온라인 신청
✅대구시 청년정책과
- 대상: 19~39세 대구 거주 근로자 중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소득 140% 이하
- 내용: 월 10만원 적립 시 12개월 기준으로 적립금 감액 또는 미지급 가능
- 신청: 대구광역시 청년정책과 (053-803-2962) 또는 온라인 접수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 내용: 2~3년 적립 시 저축 금액의 2배 (시 예산+시민 후원금) 지원
청년미래적금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자신의 소득과 상황에 맞춰 꼼꼼히 비교하고,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여 미래를 위한 든든한 자산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